전환사채는 채권이면서도 전환권 행사시 주식으로 받을 수 있어 메자닌금융에 속한다.
아래는 전환사채의 발행, 전환권 행사에 따른 회계처리이다.
1. 기본 골격
전환사채는 부채요소(전환사채발행가, 상환할증금)과 자본요소(전환권대가) 로 이루어진다.
전환사채발행가 + 상환할증금 = 전환사채현재가치(PV) + 전환권조정
전환권조정 = 전환권대가 + 상환할증금
전환사채발행가 = PV + 전환권대가
2. 전환사채 발행시 분개
차 대
현금 전환사채발행가
전환권조정 전환권대가
상환할증금
* 전환권조정은 전체기간 총 상각액
3. 전환사채 전환권 행사시 분개
차 대
전환사채발행가 전환권조정
상환할증금 자본금
주식발행초과금1
전환권대가 주식발행초과금2
* 여기서 전환권조정은 전체기간 총 상각액 중 현재까지의 상각액을 제외한 잔여분임에 유의
즉, 여기서 전환사채발행가 + 상환할증금 - 전환권조정 = 전환사채장부가액
4. 전환시 자본 증감
- 전환권 행사시 전환사채장부가액 만큼 자본이 증가하며, 자본금과 주식발행초과금1로 이루어진다.
- 전환권대가는 자본이므로 전환권대가만큼이 자본 총액에 변동을 주지 않고 계정만 주식발행초과금2로 변경된 셈이다.
정리하면,
총 자본 증가분 = 전환사채장부가액 = 자본금 + 주식발행초과금1
주식발행초과금 증가분 = 주식발행초과금1 + 주식발행초과금2 = 전환사채장부가액 + 전환권대가 - 자본금